2022년 1월은 부가가치세 신고가 있는 달입니다. 그러다 보니 현재 업체를 운영하고 있는 사업주 분들은 부가가치세 신고를 준비하고 계실텐데요. 매년 정해진 기간이 다가오면 항상 진행하는 절차이지만, 많은 분들이 신고 및 납부에 대한 부담으로 환급에 대한 내용들을 찾아보고 계십니다.
그래서 오늘은 많은 사장님들이 궁금해하시는 부가세 환급에 대한 내용을 알아볼테니 현재 관련 내용들을 찾아보고 계시다면, 오늘 정리한 내용을 활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 부가세 환급 정말 가능할까요?
매출세액 - 매입세액 = 부가세 |
해당 내용을 알아보기 전에 먼저 부가가치세가 어떤 방식으로 계산되는지 정확히 파악하고 계셔야 합니다. 위 내용에서 살펴본 것처럼 매출세액에서 매입세액을 뺀 금액만큼 납부세액이 결정되는데, 이때 매입세액이 매출세액보다 더 큰 경우에는 납부를 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국세청에서 돌려받게 되며, 이것을 '환급'이라고 합니다. 물론 신고 후 돌려받는 분들보다 납부하는 분들이 훨씬 많지만, 돌려받기 위한 노력을 한다면 환급뿐만 아니라 절세에도 많은 도움이 될 수 있으니 지금부터 정리할 내용들을 꼼꼼히 참고해 주시기를 바랍니다.
절세 또는 환급을 위해 관련 정보들을 찾아보고 계신 분들이라면 '매입세액'을 최대한 많이 확보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매입세액은 거래처에서 재료, 기타 물품을 매입할 때 발생하게 되는 비용이며, 최대한 많이 확보 할수록 절세 또는 환급에 많은 도움이 되기 때문에 신고 절차에서 정말 중요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위 항목들이 대부분 사업을 운영하며 발생하는 사업 관련 지출로 부가세를 포함한 비용을 지불하고 그에 대한 적격증빙 자료를 수취해야 매입세액을 지불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적격증빙 자료를 수취하지 않으면 신고 절차 때 공제받지 못하는 항목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관련 자료들은 반드시 수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와 같이 꾸준한 노력을 기울인다면 절세 또는 환급에 정말 많은 도움이 될 수 있으니 매입 과정을 진행할 때에는 반드시 관련 증빙 자료를 챙기시기를 바랍니다.
📘잠깐! 증빙자료란?
위 내용에서 살펴볼 수 있는 적격증빙이란세금계산서, 현금영수증, 신용카드 매입 전표 등을 말합니다. 해당 자료들을 통하여 세액을 공제받을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납부세액 또한 줄여볼 수 있습니다.
위 정리한 내용을 살펴보셨다면 세금을 돌려받기 위한 키포인트는 바로 '매입세액'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하지만 생각보다 많은 사장님들이 평소에 놓치는 부분들이 있으니 아래 정리한 내용을 참고해 주시기를 바랍니다.
고용한 직원들을 위한 복리후생비 또한 공제가 가능하다는 사실을 생각보다 많은 분들이 모르고 계십니다. 이와 같은 비용들은 생각보다 적은 비용이 아니기 때문에 미리 체크해 두었다가 제출하여 공제받는 것이 가장 현명하다고 할 수 있는데요. 여기서 말하는 '복리후생비'란 식대, 상품권 등 직원 복지를 위하여 발생한 모든 금액을 말하는 것이니 놓치지 말고 꼭 챙겨 공제 받으시기를 바랍니다.
매월 납입하는 공과금은 다른 지출에 비하면 적은 비용이라고 생각될 수 있습니다. 그러다 보니 많은 분들이 공과금 명의에 대한 부분을 신경 쓰지 않아 공제를 받지 못하고 계신데요. 공과금의 명의가 사업자로 되어있지 않은 경우에는 부가세 공제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명의를 확인했는데 사업자 앞으로 되어있지 않다면 꼭 변경해 주시기를 바랍니다. 대표자와 사업자가 다른 경우가 있으니 이 부분 유의하여 꼭 사업자 명의로 해야 한다는 사실을 기억해 주시기를 바랍니다.
부가세 공제는 차량 관련 비용도 가능합니다. 여기서 말하는 차량 관련 비용이란 주유비, 차량 구입대금, 유지 비용 등이 모두 포함되며, 영업용 차량에 해당할 경우 어떤 규제 없이 모든 금액을 공제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비영업용 차량인 경우에는 2륜, 밴, 화물차, 1000cc 이하 경차, 9인승 이상 승합차인 경우에만 공제가 가능합니다.
아무리 많은 공제 항목들을 챙겼더라도 신고 절차에서 제대로 진행하지 못하면 생각했던 결과와는 다르게 신고가 진행될 수 있습니다. 그러다 보니 요즘에는 많은 분들이 직접 홈택스에서 신고를 진행하기보다는 실력 있는 세무대리인을 통해 대행신고로 진행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하지만 실력 있는 인력을 통해 진행하기 위해서는 최대한 많은 사무소를 돌아다니며 알아봐야 하기 때문에 많은 분들이 어려움을 겪고 계십니다. 만약 이와 같은 어려움을 겪고 계시거나 믿을 수 있는 인력을 찾지 못하고 계시다면, 세무사 찾기 플랫폼 <찾아줘 세무사>를 통해 진행해 보시기를 바랍니다.
[ 부가세 관련 글 더보기 ]
・ 본 콘텐츠는 제휴사가 제공하였으며, 캐시노트는 콘텐츠의 정확성, 완전성, 신뢰성을 보장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