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비회원으로 이용중입니다. 로그인을 하시면 더많은 서비스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로그인하기
회원가입하기
세무
법인 부가세 신고기간 등 핵심 정보 총정리
법인부가세 신고기간 / 계산방법 / 환급 / 가산세율 등
찾아줘 세무사
무료 세무견적/세무사 비교 플랫폼
구독자 3,416
#찾아줘 세무사
#세금

홈 보러가기
            


안녕하세요, 사장님 😊

개인사업자에 비해 법인사업자는 신경 써야 할 세금의 종류가 더 많죠.


매번 신고를 할 때마다 신고 기한을 놓치지는 않았는지, 이번엔 얼마나 납부해야 하는지 헷갈릴 수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법인 부가세 신고 기간과 함께 알아두시면 좋을 핵심 내용까지 알아보겠습니다.




📅 법인 부가세 신고기간

| 1년에 총 4번 (1월, 4월, 7월, 10월)


과세기간과세대상
기간
신고납부
기간

제 1기
1.1~6.30
예정신고1.1~3.314.1~4.25
확정신고1.1~6.307.1~7.25
제 2기
7.1~12.31
예정신고7.1~9.3010.1~10.25
확정신고7.1~12.31다음 해 1.1~1.25

법인사업자의 부가가치세 신고 기간은 1년에 총 4번으로 1월, 4월, 7월, 10월이 있습니다.


신고기한은 각각 1일부터 25일까지며, 분기별로 신고를 하신다고 보시면 되는데요.


더 빠른 이해를 위해서는 상반기, 하반기를 나누어 신고하되 각 반기를 다시 반으로 나누어 예정신고를 하고 확정신고를 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 부가가치세 계산


계산 방법매출세액 - 매입세액
매출세액매출액의 10%
매입세액매입액의 10%

부가가치세는 기본적으로 상품이나 서비스를 판매할 때 소비자에게 받은 10%의 금액을 납부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단순히 매출액에 대한 부가세만을 부과하지 않고, 매입액과 관련된 부가세를 공제받을 수 있는데요.


헷갈리시는 분들은 아래 예시를 참고해 주세요.

💻️

노트북 판매: 130만 원 (매출) + 13만 원 (매출세액)

노트북 판매를 위한 매입: 40만 원 (매입) + 4만 원 (매입세액)

부가세 계산: 13만 원 - 4만 원 = 9만 원


직접 계산이 어려운 분들은 찾아줘 세무사에서 무료 제공 중인 부가가치세 계산기를 이용해 보시면 도움이 되실 것 같습니다.




💸 부가가치세 환급 VS 납부


납부해야 하는 경우매출세액이 더 많은 경우
환급받는 경우
매입세액이 더 많은 경우


계산 방법에서 정리한 것과 같이 부가가치세는 매출세액에서 매입세액을 차감하여 납부를 하게 됩니다.


하지만 이때 생각보다 매출이 잘 나오지 않아 매입세액이 오히려 높은 경우가 있을 수 있는데요.


이때는 음의 값 금액만큼 환급이 되니 이점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부가가치세 가산세 종류


무신고 가산세기한 내 신고를 하지 않은 경우

과소 신고 가산세

신고는 했지만 신고해야 하는 금액보다 적게 신고한 경우

초과 환급 신고

받아야 하는 환급 금액보다 더 많은 금액을 환급받은 경우


법인 부가세 신고 기간은 일 년에 4번이나 진행을 하기 때문에 기한을 놓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데요.


이렇게 기한을 놓친 경우 무신고 가산세가 부과되며, 잘못 신고한 경우에도 이와 관련된 가산세율이 부과됩니다.


신고는 했지만 적게 신고를 했거나 초과환급을 받은 경우라면 이와 관련된 가산세도 부과되니 이점 주의하시길 바랍니다. ⛔️




| 부가가치세 가산세율

무신고해당세액 X 20%
과소신고해당세액 X 10%
초과환급해당세액 X 10%


기본적으로 일반적인 세율은 위 이미지와 같이 무신고의 경우 20%, 과소 또는 초과 환급의 경우 10%가 부과됩니다.


하지만 부정한 방법이 적발되었을 경우 위 유형과 상관없이 40%의 세율이 부과되니 주의하여야 하는데요. ⛔️


부정한 방법이라는 것은 명의 위장이나 차명계좌 등이 대표적인 경우에 해당합니다.





지금 체크해야 하는
💼 법인 관련 콘텐츠 💼


🔗 법인 설립, 이것만큼은 꼭 확인하자!

🔗 법인세 신고기간에 꼭 알아야 하는 꿀팁

🔗 신규법인설립 절차, 비용 등 자세히 알아보기



・ 본 콘텐츠는 제휴사가 제공하였으며, 캐시노트는 콘텐츠의 정확성, 완전성, 신뢰성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2023년 01월 17일
캐시노트 가입하고
필요한 컨텐츠 알림받기
이전글
1월 부가세 신고 총정리
다음글
사고를 정리하는 능력도 외식인의 자질이다
공감 15
저장 14
댓글 0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