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사장님!
사업을 시작하고 매출액이 증가했거나 규모가 커졌다면 법인사업자로 전환을 고려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
하지만 법인사업자는 개인사업자와 다르게 설립 전 알아둬야 할 내용이 많고 절차도 까다로운 편입니다.
그래서 오늘은 법인설립을 고려하시는 분들이라면 꼭 알아두셔야 할 각종 핵심들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설립 전 알아둬야 할 것 🔎
개인사업자 | 법인사업자 |
사업자등록 과정이 어렵지 않고, 등록 후에 수정도 굉장히 쉬움. | 한 번 설립을 하고 나면 변경을 할 때마다 비용이 발생하고, 수정이 불가능한 항목들도 있음. |
▷ 따라서 설립은 혼자 진행하는 것보다 도움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법인 설립 절차 📃
법인 설립 절차 | |
#1 등기부등본 발급 | 기본적인 요건을 설정한 뒤 등기부등본 발급이 가능, 이 과정에서 등록 면허세와 지방교육세 납부. |
#2 사업자등록 | 등기부등본 및 각종 증빙서류를 준비하여 사업자등록을 하면 설립 완료 |
법인설립 비용 💲
법인사업자를 설립하려면 반드시 납부해야 하는 공과금은 총 두 가지로 등록면허세와 지방교육세가 있습니다.
반드시 납부해야하는 공과금 | |
✔ 등록면허세 | 자본금과 사업장의 소재지에 따라 달라짐 💡사업장의 소재지는 과밀억제권역과 비과밀억제권역으로 구분하며, 각 지역별 세율은 아래 내용 참고 |
✔ 지방교육세 | 등록 면허세의 10%를 납부 |
등록면허세 세율
등록면허세 세율 | |
비과밀억제권역 | 세율 : 자본금 X 0.4% |
과밀억제권역 (=수도권) | 세율 : 자본금 X 1.2% - 비과밀억제권역에 비해 3배 가량 높은 면허세를 납부해야 하므로 신중히 진행하는 것이 필요. |
무료 설립, 해도 괜찮을까? 🤷🏻♂️
앞서 언급한 것과 같이 법인사업자 설립은 과정이 굉장히 까다롭기 때문에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이때 ‘무료’로 법인사업자 전환의 도움을 받고자 할 때는 몇 가지 사항들을 꼼꼼히 확인해야 하는데요.
▷ 대표적으로 확인해 봐야 할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1) 법인 전환이 유리할지 충분히 상담 (2) 내 업종에 대한 이해가 높은 곳에서 진행 (3) 향후 5~10년을 생각하여 서류 준비 (4) 설립과 동시에 절세 플래닝 세우기 |
법인사업자 사장님을 위한 정보 🔎
・ 본 콘텐츠는 제휴사가 제공하였으며, 캐시노트는 콘텐츠의 정확성, 완전성, 신뢰성을 보장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