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의 마지막 중요한 세무일정은 법인세 신고가 아닐까 싶습니다! 다수의 법인이 12월말 결산 법인으로 3월달이 법인세 신고기간이 될텐데요.
법인세 신고기간을 비롯한 법인세 세율, 감면·공제항목 등 전반적인 사항들에 대해서 안내드리겠습니다.
법인세 신고기간
법인세는 말 그대로 법인이 신고·납부하는 세금으로 영리법인/비영리법인 혹은 내국법인/외국법인, 법인의 규모 등에 따라 과세대상 소득이 달라집니다. 일반적인 국내 영리법인으로 말씀드리면 국내·외 모든 소득에 대해 납세의무가 있답니다. 그렇다면 법인세 신고 기간은 어떻게 될까요? 언제 할까요?
결산종료일이 12월 31일인 법인 중 성실신고확인대상 법인이 아닌 법인은3월 31일까지 법인세 신고를 이행하여야 합니다.아무래도 종합소득세율(6~42%)에 비해 유리한 법인세 세율(10~25%)로 인해 많은 분들이 법인사업자에 대한 관심이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다만, 소득금액의 적정성만이 주로 검증되는 개인사업자와 달리 법인사업자는 증빙수취 및 입출금내역이 정상적으로 정리되지 않는다면 추후 자산부채현황 및 가지급금에 대한 과세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종합소득세에 비해 낮은 세율이 적용되지만 더욱이 신경을 써야하는데요. 법인세 신고 이후 수정사항은 표준재무제표에 반영할 수 없으므로, 신고기한 내에 결산이 정확히 진행될 수 있도록 사전에 준비하셔야 합니다.
법인세 신고기간이 3월인 경우는 12월 결산법인인 경우에만 해당하며, 그 외 사업연도를 달리한 법인의 경우 법인세 신고기간이 달라집니다. 법인세 신고기간은 사업연도 종료일로부터 3개월 이내 입니다. 법인세 신고시 필수 제출서류는 총 6가지로 위 이미지를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다음은 아무래도 많은 사업자 분들이 법인을 선택한 가장 큰 이유가 되는 법인세 세율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법인세 세율
법인세 세율은 당기순이익에 세무조정사항을 가감 후 이월결손금, 비과세소득, 소득공제금액을 차감하여 계산된 과세표준에 적용하게 됩니다. 법인세 세율은 10~25%로 4단계 누진세율이 적용됩니다. 이때 토지등 양도소득이 발생한 경우 추가적으로 양도차익에 10~40% 세율을 적용하게 됩니다.
법인세 신고 꿀팁
법인세 절세를 위한 방법 중 하나는 공제, 감면 관련 규정을 잘 아는 것입니다. 관련 조문은 법인세법 뿐 아니라 조세특례제한법에도 존재하므로 우리 법인이 업종이나 규모, 직원 수 등등 여러 방면에서 적용될 수 있는 조문은 없는 지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습니다. 주로 많은 분들이 관심을 가지는 사항 3가지는 아래와 같으며, 이외에도 정말 많은 항목들이 있기 때문에 면밀한 검토가 필요합니다.
다음 꿀팁은 법인세 신고안내문을 확인하는 것입니다.
법인세 신고안내문은 관할세무서에서 타법인과 비교하여 여러 정보가 나와있어 유용합니다. 따라서 안내문을 통해 신고추이나 유의사항 등 내용을 확인하여 놓치고 있는 부분은 없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겠습니다. 이는 세무조사 대비에도 탁월하므로, 꼭 확인해 주세요!
법인은 별도의 인격으로 납부하는 세금으로 실제 사업을 운영하는 개인과 구분이 되어야 합니다. 법인의 자금은 개인이 마음대로 유용해서는 안되며, 출처가 분명하지 않거나 임의로 사용한 금액은 대표자의 귀속으로 보아 법인세는 법인세대로, 개인의 소득세는 소득세대로 납부해야하는 불상사가 발생합니다.
따라서 그 특성에 따른 법인세법의 수많은 조문들을 잘 파악하여 운영하는 것이 중요하며, 법인세 신고 또한 중요합니다.
📆 3월 전체 세무일정 CHECK!
이미지 클릭 시, 이동합니다
・ 본 콘텐츠는 제휴사가 제공하였으며, 캐시노트는 콘텐츠의 정확성, 완전성, 신뢰성을 보장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