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비회원으로 이용중입니다. 로그인을 하시면 더많은 서비스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로그인하기
회원가입하기
사장님119
어시장에서 주도권 잡는 방법
[김진영] #뭣이중헌디 #15편 #어시장
김진영
농산물 식재료 전문가
구독자 89
#농산물
#수산물
#지역특산물

홈 보러가기
            


뭣이 중헌디?!
#15 어시장 🦑




어시장에 간다면?


가성비가 좋지 않을까, 하고 막연히 생각한다. 어시장 주변에 포진해 있는 식당들과 비교해서 말이다. 회만 먹는다면 어시장, 콘치즈와 이거저거 다 있어야 한다면 식당이다.

좋고 나쁨은 아니다. 한편으로는 뒤통수 맞지 않을까? 걱정한다.

둘 다 걱정은 같다. 어느 쪽이든 결정하고는 바가지를 쓰거나, 어쩌다 “먹었네”라는 생각이 전부다. 잘 먹었다는 생각은 거의 없다.






왜 그럴까 생각해보면 답은 분명하다


주도권!

주도권을 쥐고 있으면 그나마 바가지 뒤집어쓸 확률이 줄어든다. 식당이든 어시장이든 말이다.

여기서는 어시장 중심으로 설명한다. 내가 먹고 싶은 것이 아니라 쥔장 팔고 싶은 것을 사는 순간, 바가지 쓸 확률은 거의 100%다.

어시장에서 주도권 잡는 방법은 간단하다. 내가 무엇을 먹을지가 분명해야 한다. 무엇을 먹을지 알려면 그 항구의 제철 생선을 아는 게 가장 중요하다.




1월에 삼척항에 다녀왔다


취재하러 다니다가 저녁에 삼척항에서 소주 한잔하기로 했다. 삼척항에서 생선 사기 전에 임원항에서 대략적인 가격과 생선 구성을 봤다.

가자미 외 볼락, 성대가 대부분이었다. 우럭이나 광어도 있고 돔도 있었다. 가격은 삼척항보다 다소 비싼 듯싶었다.

회 떠서는 초장 집으로 가지 않고 바로 그 자리에서 먹는 것이라 조금 더 비쌌다. 비싸고 싸고는 사실 중요하면서도, 중요하지 않다. 가성비는 싸고 비싸고의 문제가 아니기 때문이다.

내가 낸 돈만큼 값어치를 따지는 것이 가성비다. 싼 것이, 비싼 것이 값어치를 못 하면 가성비는 떨어진다. 낸 돈만큼이라도 하면 다행인 것이고, 그보다 좋은 경우를 찾지 않는 것이 정신 건강에 훨씬 좋다.

찾기 힘든 것을 찾느라 시간을 빼앗길 뿐이고 결국 지치면 아무거나 산다.




삼척항 어시장에 들어서기 전에
메뉴는 결정했다.


가자미나 복어 둘 중 하나였다.



우선 복어를 물어봤다. 가격이 어마무시했다.
다니면서 자연산 광어도 물어봤다. 1월 광어는 방어보다 맛나기 때문이다. 1kg 5만 원, 그 가격이면 다른 것이 낫다. 3~4kg 나가는 것을 골라야 제맛을 느낄 수 있지만, 가격이 너무 셌다. 쥔장은 다른 것을 권했지만, 흘려보냈다. 어시장에서 권하는 치트키, “이거저거 삼만 원” 빨리 처리 해야 하는 것 기준으로만 어벤저스급이다. 내가 정한 메뉴가 아니기에 지나쳤다.

가자미만 보고 다녔다. 강도다리, 문치가자미, 용가자미 등등이 보였다. 가격은 집들이 대동소이, 그렇다면 횟감의 물을 봐야 한다. 그중에서 배에서 꼬리까지의 테두리가 노랗게 물든 참가자미가 있는 곳을 선택했다. 가격을 물으니 1kg 2만 원, 한겨울 참가자미의 고소함은 소주 안주로 딱 맞았다. 수족관 안을 보니 말쥐치와 쥐치가 함께 있었다. 조금 더 고소한 맛이 좋은 쥐치로 골랐다.

회를 뜨는 사이 옆집 수족관을 보니 책에서만 봤던 찰가자미가 떡하니 있다. 가격을 물으니 2만 원이라 한다. 한 마리 잡아 달라 하니 옆에서 살살 헤엄치는 도화볼락이 덤이 되었다. 횟값으로 총지급한 금액은 6만 원. 구성은 참가자미, 찰가자미, 쥐치, 도화볼락, 네 가지였다. 일명 DIY 모둠회였다.

초장 집으로 가 소주 한잔과 더불어 먹고 마셨다. 회를 먹다가 중간에 비빔 채소를 더해 초무침까지 했다. 채소만 가득한 회무침이 아닌 회가 주인공 행세 제대로인 회무침이었다. 나중에 술값까지 해서 그날 들어간 비용은 9만 원 조금 넘었다.

횟집에서 먹는 것과 비용은 거의 비슷했다. 다만 콘치즈가, 데워서 나온 튀김이 없었을 뿐이다. 이거저거 집어 먹을 것 대신 내가 먹고 싶었던 회만 가득했다.

어시장에 가기 전에 무엇을 먹을 것인지 정하고 가면 주도권은 나에게 있다. 횟집 사장이 팔고 싶은 것이 아니라 내가 먹고 싶은 것이 중요하다.

어시장에서 횟감 살 때 뭣이 중헌디 생각해보면 답이 있다. 제철을 알면 맛있어진다는 이야기가 그냥 이야기가 아니다.


농산물 전문가 김진영이 전해주는
생생한 식재료 이야기 뭣이 중헌디?!


👉 시금치, 색이 검은 것이 좋다?!


👉 게살의 맛, 제대로 느끼려면





2022년 05월 24일
캐시노트 가입하고
필요한 컨텐츠 알림받기
이전글
명품 조연, 반찬에 주목하라
다음글
게살의 맛, 제대로 느끼려면
공감 3
저장 3
댓글 0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