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사장님 ✨
어느덧 2023년의 세 번째 달이 찾아왔네요.
3월에는 다양한 세무일정이 있으니 놓치지 않도록 23년 3월 세무일정 꼼꼼하게 체크해주세요.
◾️ 3월 주요 세무일정
✔️ 3월 10일까지 ① 원천세 신고 및 연말정산 환급신청 ② 근로, 사업, 퇴직, 연금소득 원천징수영수증(지급명세서) 제출 ✔️ 3월 15일까지 ① 근로장려금 하반기분 신청 ✔️ 3월 31일까지 ① 매월 제출하는 일용근로소득, 사업소득 간이지급명세서 ② 12월말 결산법인 법인세 신고/ 납부 |
1️⃣ 원천세 신고 및 연말정산 환급신청
첫 번째로, 원천세 신고 및 연말정산 환급신청입니다.
대부분의 사업장이 연말정산을 어느정도 마쳤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연말정산으로 결정된 근로소득자들의 납부(환급)세액은 2월 급여 지급시 정산하여 지급되어야 하는데요, 이 금액은 원천징수이행상황 신고서상 '연말정산' 항목에 반영해주시면 됩니다.
일반적으로 월별 납부자에 대한 연말정산 결과를 반영하여 3월 10일까지 제출하면 되고, 해당 서류는 2월분 급여에 대한 원천징수이행상황 신고서여야 합니다.
연말정산 환급신청을 원하는 경우에는 '환급신청서'를 추가적으로 작성해야합니다.✏️
◾️ 원천징수이행상황 신고
연말정산 후 납부 (or 환급) 세액 원천징수이행상황신고서 작성방법 환급신청시 추가적으로 환급신청 작성이 필요합니다. ![]() |
이때 연말정산 환급이 아닌 납부세액이 10만원 이상 발생한 경우, 분납도 가능합니다.
그러나 반기별 납부자는 6월까지의 급여 내용이 담긴 원천징수이행상황 신고서를 제출할 때, 연말정산 데이터를 기입하면 됩니다. 제출 날짜는 해당 급여 월의 익월 10일이니 7월 10이 되겠죠.
단, 예외적으로 반기별신고대상자이더라도 연말정산 환급을 받고자 하는 경우 1,2월 원천세 신고 및 환급신청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2️⃣ 원천징수영수증(지급명세서) 제출
두 번째는, 원천징수영수증(지급명세서) 제출입니다.
2022년 1년간 지급한 근로/사업/퇴직/연금소득에 대한 지급명세서🧾 즉, 원천징수영수증 제출을 3월 10일까지 해주셔야 합니다.
또한 매월 제출하는 일용근로 소득 지급명세서와 사업소득 간이지급명세서의 경우, 2월 지급분에 대해 3월 31일까지 제출해주시면 됩니다.
이때 근로소득 지급명세서의 경우 연말정산 대상자는 물론이고 중도퇴사한 연말정산 대상이 아닌 근로자에게 지급한 내역에 대해서도 모두 제출해야 합니다.
3️⃣ 근로장려금 신청기간
세 번째로, 근로장려금 신청기간입니다.
근로장려금은 근로, 사업소득이 있고 가구원에 따른 소득기준에 충족하는 대상에 한하여 지급하기 때문에 국세청 홈페이지에서 요건 확인 후 대상이 되는 경우 신청해주시면 됩니다.
반기별로 지급받기 원하는 경우 3월 15일까지 신청해주시면 되며, 12월말에 지급받은 상반기분을 제외하여 6월말 나머지 하반기분이 지급될 예정이라고 합니다. 💰
근로장려금 신청 화면은 다음과 같습니다.
22년 세제개편으로 인해 23년부터는 지급액도 인상된다고 하니 요건과 근로장려금 신청기간을 잘 확인하여서 기한내 신청하여 불이익 없으시기 바랍니다.
4️⃣ 법인세 신고
마지막으로 설명드릴 3월 세무일정은, 법인세 신고입니다.
법인세 세율은 23년 개정되어 이슈가 많은데요. 법인세 세율을 비롯하여 전반적인 내용을 함께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 법인세 신고납부 (23년 3월 31일까지)
📍 신고 대상 내국법인의 경우 국내외 모든 소득, 외국법인의 경우 국내원천소득에 대해 법인세 신고 납부의무가 있습니다. 📍 신고 서류 법인세 과세표준 및 세액 신고서, 재무상태표, 포괄손익계산서,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세무조정계산서, 세무조정계산서 부속서류 및 현금흐름표 |
📍 법인세 세율 (누진세율구조) 2억 이하 : 10% 2억 초과 200억 이하 : 20% 200억 초과 3000억 이하 : 22% 3000억 초과 : 25% |
법인세 세율은 22년 귀속분까지 2억이하 10%가 적용되겠으나, 23년 1월 1일 이후 개시하는 사업연도부터는 중소·중견기업의 경우 5억이하까지 10% 세율이 적용되어 법인세 부담이 경감되겠습니다.
이상으로 23년 3월 세무일정에 대한 안내를 마치겠습니다. 😊
안내드린 일정 외에도 납세의무 발생여부에 따라 상속/증여/양도/증권거래세 신고납부 대상이 되는지 확인하셔서 기한내 신고납부의무를 이행하시기를 바랄게요! ☘️
・ 본 콘텐츠는 제휴사가 제공하였으며, 캐시노트는 콘텐츠의 정확성, 완전성, 신뢰성을 보장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