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비회원으로 이용중입니다. 로그인을 하시면 더많은 서비스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로그인하기
회원가입하기
세무
직원 근로계약 전, 필수 체크!
최저시급 반영한 ‘주 40시간 근무자 기준’ 한 달 급여는? 주휴수당은 꼭 지급해야할까요? 4대 보험은 모든 근로자가 가입해야할까요?
찾아줘 세무사
무료 세무견적/세무사 비교 플랫폼
구독자 3,416
#찾아줘 세무사
#세금

홈 보러가기
            



안녕하세요, 사장님!

직원을 고용하거나 아르바이트생을 구하려고 할 때 임금과 관련해 궁금한 내용이 많으시죠.


특히 특정 시급을 정하여 계약한 경우라면 미리 급여를 계산해보는 것이 좋으며,

연초에는 변경된 최저시급을 확인하여 미리 근로계약과 관련된 내용을 수정해두시는 것이 좋은데요.


💡 오늘은 2023년 최저시급주휴수당, 월급 계산 방법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지려 합니다.




Q. 2023년 최저시급은 얼마일까?


2023년 최저시급은 2022년 대비 5% 인상된 9,620원입니다.

주 40시간 근무자 기준 한 달 급여2,010,580원입니다.





근로자를 채용하기 전 또는 근로 계약을 체결하기 전

👉 최저시급 반드시 확인!


2023년 최저시급
9,620원




Q. 주휴수당은 반드시 지급해야 할까?




| 주휴수당이란?

일정 요건을 만족한 근로자에게 반드시 지급해야 하는 유급휴일 수당에 해당합니다.


| 주휴수당 지급 요건

1주당 15시간을 일하는 근로자가 일주일간 소정 근로일수를 만족한 경우

해당 요건을 만족했다면 1주당 하루치의 유급휴가 수당을 지급해야 합니다




월급 계산 어떻게 되는 걸까?

앞서 정리한 방법대로 결정된 최저 임금 또는 그 이상의 금액의 근로계약을 체결한 경우

근로자는 다양한 공제항목이 차감된 금액을 실수령하게 됩니다.



| 연봉 근로자

연봉으로 근로계약을 체결한 경우 연봉을 12로 나누고 소득세와 4대보험을 공제한 금액이 실수령액이 됩니다.


| 시급 근로자

시급 근로자인 경우 시급에 근무 시간을 곱하고, 주휴수당을 더한 금액에서 소득세와 4대 보험을 공제하게 됩니다.





Q. 4대 보험 가입기준은?

4대 보험은 모든 근로자가 의무 가입하는 것이 아닌, 보험별 요건을 만족한 경우 가입을 하게 됩니다.




| 국민연금 가입 기준

국민연금은 한 달 60시간 근무자 또는 60시간 미만 근무자이지만 3개월 이상을 근무한 경우 가입해야 합니다.


| 산재보험 가입 기준

산재보험은 모든 근무자가 의무 가입해야 합니다.


| 건강보험 & 고용보험 가입 기준

건강보험과 고용보험은 한 달 60시간 이상 근무자가 꼭 가입해야 합니다.




지금 체크해야 하는
💰 세무 관련 콘텐츠 💰


🔗 현재 4대보험요율이 궁금하다면?

🔗 도대체 4대보험이 뭘까요?

🔗 급여명세서 양식 잘 지켜서 발급하세요



・ 본 콘텐츠는 제휴사가 제공하였으며, 캐시노트는 콘텐츠의 정확성, 완전성, 신뢰성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2023년 02월 07일
캐시노트 가입하고
필요한 컨텐츠 알림받기
이전글
MZ들은 식당 가기 전에 이걸 본다고? : 맛집 홍보 어플 비교
다음글
좌식 테이블, 계속 고수하는 것이 맞을까?
공감 50
저장 44
댓글 4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