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Q. HMR에 대해 알고 싶어요
수원에서 5년째 닭갈빗집을 하고 있습니다. 5년째 한 자리에서 나름 단골손님 확보하며 운영 중이지만 매출을 높이기 위한 다른 방법이 필요합니다. 좀 잘되는 식당 중에는 가정 간편식을 제조해서 인터넷에서도 팔더라고요.
저같이 식당만 계속해온 사람도 할 수 있는 것인지, 자체 공장이 있어야만 하는 건지, 그러면 또 돈은 많이 드는지, 어디서 팔아야 할지... 막상 인터넷을 찾아도 잘 나오지도 않고 어렵네요. 어떻게 해야 하는 건가요?
🍱 A. HMR(Home Meal replacement)은
말 그대로 가정식 대용식입니다
과거 음식을 집에서 만들어서 먹었던 것이 일반적이었다면 여성의 사회진출, 기술의 발달, 산업의 변화 등으로 식사의 형태나 방법에 변화가 생기면서 집에서 만들지는 않았지만, 가정식을 대용할 수 있는 것이 그 시작이었습니다.
최근 코로나가 유행하면서 사람과 사람이 대면 접촉하는 것 자체가 어려워지고, 배달이나 새벽 배송 플랫폼을 통해 손쉽게 냉장, 냉동 제품들을 주문하여 받아볼 수 있게 되면서 이런 HMR 제품들이 급속도로 발달하게 되었고 온라인 마켓을 통해 다양하고 품질 좋은 상품들을 만나보게 되었습니다.
또한 레스토랑에 인원 제한 등이 생기며 자체 상품들을 제품화하여 다양한 RMR(Restaurant meal replacement)을 선보이게 되었습니다.
저도 코로나가 심해지며 다양한 상품들을 밀키트화 하여 만들어 보았는데, 영업장에서 상품을 만드는 영역을 확장하는 것은 그만큼의 허가사항, 시간, 인력, 장비, 도구, 유통 및 배송을 위한 여러 소모품까지 추가해 할 부분들이 많기 때문에 신중하게 생각하고, 우리 식당의 미래를 생각하며 차근차근 시작해 보시는 것이 좋을 거 같습니다.
🙋♂️ Q. 어떤 진행 방식으로 해보면 될까요?
구체적으로 뭐부터 해야할지 궁금합니다. 또한, 어떤 부분들을 신중하게 생각하고 주의해야 할까요?
🍱 A. 이런 방식이 좋을 것 같습니다
일단, 가장 먼저 필요한 것! 음식점이 일반음식점으로만 되어 있다면 즉석 제조를 추가하여 주세요. 일반 음식점 교육을 받았던 것처럼 식품 산업협회에서 시행하는 온라인 교육을 받으시고, 위생과에 가서 허가 받고, 품목 제조 보고를 하신 후 사업자에 종목 추가를 하시면 됩니다.
이때 사업자에 온라인 쇼핑몰도 함께 추가해 주세요. 상품은 명확하게 닭갈비라고 정해져 있기 때문에 포장 방법과 배송 방법을 고민하셔야 하는데, 냉장으로 보내실 경우 아이스팩/ 박스 등을 어떻게 구성해야 할지도 고민하셔야 합니다.
처음 시작부터 너무 거창하게 하려고 한다면 어려울 수 있으니 이 과정에서 시중에 나와 있는 많은 기성품 패키지를 테스팅해 보시고, 지인들에게 배송도 테스팅해 보시길 권해드려요.
그리고 가장 쉬운 툴인 스마트스토어를 통해 우리 가게를 등록하고 상품의 이미지와 설명 등을 올려서 판매를 시작해 보세요. 이후에는 칼럼을 통해 스마트스토어 판매에 대해 자세히 알아가실 수 있도록 정리하여 소개하겠습니다.
푸드스타일링 전문가
박현정의 Q&A 보러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