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비회원으로 이용중입니다. 로그인을 하시면 더많은 서비스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로그인하기
회원가입하기
읽을거리
2023 트렌드를 알면, 장사가 열린다! (1편)
'평균실종', '체리슈머' 키워드로 미리 계획하는 2023 장사 전략! 필수 체크!!
사장님119 정보닷
사장님을 위한 장사 정보나누미
구독자 6,736
#경영관리
#소상공인
#외식경영
            


사장님께서 얻어가실 정보

⚖️ 평균실종, 달라진 손님을 위한 장사 전략
🍒 체리슈머, 손님이 합리적 소비를 찾는 이유
✏️ 장사에 적용할 수 있는 트렌드 TIP
📒 10대 키워드 소개


2023년은 '검은 토끼의 해'라고 하죠!

국내 대표적인 트렌드 분석서인 <트렌드 코리아 2023>에서는 ‘더 높은 도약을 준비하는 검은 토끼의 해 RABBIT JUMP’ 라는 주제로 2023 전망을 내다봤습니다.

가게 운영으로 바쁘실 사장님들을 위해 캐시노트가 책의 핵심 내용 중 사장님들께 꼭 필요한 내용만 뽑아 정리했어요! 사장님에게 도움이 될 만한 내용과 가게 운영, 사업에 적용할 수 있는 팁만 딱딱! 집어 알려드릴게요 ✨




✅ 평균실종 ✅ 체리슈머

✅ 뉴 디멘드 전략 ✅ 공간력

10대 키워드 중 사장님께 직접적으로 도움이 될 만한 키워드 네 가지를 추려 자세히 알려드릴게요! 지금부터! 새해엔 과연 어떻게 가게를, 사업을 운영해야 할 지 그 핵심 키워드들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 평균실종 ⚖️


’적당히’ 괜찮아서는

더 이상 살아남을 수 없는 시대


평균, 전형의 시대가 저물었습니다. 경제적으로 양극화가 극심해지면서 소비 또한 양극화가 일어나고 있습니다.

소비자들은 극단적으로 비싼 소비를 하거나 극단적으로 합리적인 소비를 합니다.


| 프리미엄 소비

올해 크게 유행했던 외식업 키워드 중 하나가 바로 ‘오마카세’였습니다. 원래 스시에 한정된 용어였으나, 최근엔 소위 말하는 ‘코스요리’를 대체하는 용어가 되었죠.

최근 소비자들은 평소 외식의 빈도를 줄여 한 끼에 평균 20만 원 가량의 프리미엄 식사 한 번 즐기는 것을 선호한다고 합니다. 다른 분야에서 아낀 비용을 특별한 경험을 얻는 데 쓰는 것입니다.

중도가 없어진 세상의 대표적인 현상이라고 말 할 수 있습니다.

이젠 외식업, 미용분야도 프리미엄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매우 합리적인 가격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양극화 소비행태에 대응할 수 있는 전략을 취해야 할 것 같습니다.


| ‘개개인성’의 시대가 온다

‘보통’, ‘정상’과 같은 기준이 흔들리고 있습니다. 옳고 그름이 아닌 ‘다름’으로, 다양성의 가치가 인정을 받는 시기인 것이죠. 책에서는 이러한 현상을 양극화를 넘어 N극화라 표현합니다.

라이프스타일 또한 N극화하며 건강, 채식에 관한 키워드가 올해 다양한 산업군의 트렌드 이슈로 떠오르기도 했습니다.

제로 슈가, 락토 프리 등 조금 더 개인의 선호를 존중하는 다양한 제품군이 출시 되어 인기를 얻었고, 이전에는 ‘까탈스럽다’고 인식 되던 의견들이 존중을 받으며 그에 맞는 제품과 서비스들이 쏟아집니다.

사소한 것이라도 개개인이 선호하는 바를 존중하고 그에 맞는 제품과 서비스를 고안해야 합니다. 소비자가 만족할 수 있도록 더욱 다양한 가치에 대한 이해와 고민이 그 어느때보다 필요한 시기인듯합니다.


✏️ 내 가게에 적용할 수 있는 TIP

다른 가게에서는 하지 않는 우리 가게 만의 특별한 ‘프리미엄 서비스’혹은 ‘프리미엄 메뉴’를 만들어 보는 건 어떤가요?

조금 비싸더라도 제대로 된 제품 및 서비스를 제공해 ‘탁월함’이 필요한 시장에 우리 가게 또한 경쟁력을 띌 수 있도록 말이에요!




🍒 체리슈머 🍒


현대판 보릿고개, 똑똑하고 창의적인

합리적 소비자가 온다


케이크 위의 체리만 쏙 빼먹는 얌체 같은 사람들을 일컫는 용어인 ‘체리피커(cherry picker)’ 에서 기인한 ‘체리슈머’는 기존의 체리피커가 가진 부정적인 뉘앙스를 제거한 알뜰하고 합리적인 소비를 추구하는 소비자(consumer)를 뜻합니다.

단군 이래 최고의 스펙을 가졌다고 하는 체리슈머, MZ세대는 저성장 시대에 태어나 ‘부모보다 가난한 최초의 세대’로 알려져 있습니다.

때문에 이들은 극한의 합리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비용대비 효용이 뛰어난 것만 골라 매우 합리적인 소비를 하려고 하죠.


| 1인 가구를 위한 소용량 제품

소식좌 먹방이 인기라고? 1인 가구 증가와 체리슈머의 등장으로, 작고 유연한 소비 바람이 불고 있습니다. 이젠 먹방도 무작정 많이 먹는 콘텐츠가 아닌 소식 먹방이 인기입니다.

이런 트렌드에 발맞춰 맥주부터 아이스크림까지 미니사이즈의 식품들이 줄줄이 출시 되고 있습니다.

500ml 용량을 부담스럽게 느끼는 소비자에 맞춰 주류나 음료 업계에서는 250ml, 355ml 짜리 소용량 제품군들을 출시하기 시작했고, 가게에서도 한 잔 용량 단위로 시음할 수 있는 메뉴들이 생겨나고 있습니다.

낭비 없이 내가 필요한 만큼만 합리적인 가격으로 소비하고 싶어하는 체리슈머들을 적절하게 공략한 전략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무작정 싼 것만 추구하는 소비자와는 다르다

체리슈머를 작고 값이 싼 것만 소비하는 ‘짠돌이’로만 생각한다면 큰 오산입니다. 이들은 무조건 싼 물건만 사는 블랙컨슈머, 공짜만 원하는 체리피커와는 다릅니다.

책에서도 이들을 공략하기 위해 무조건 퍼주기식 할인을 단행하는 건 결코 해답이 아니라고 말합니다. 작고 유연한 소비를 원하는 소비자를 위해 똑똑한 전략이 필요하다는 것이죠.

이들은 한정된 자산을 최대한 효율적으로 운용하고자 합니다.

평소 지출을 아껴 코스요리를 먹고, 짠테크를 통해 모은 돈으로 1박에 100만원 하는 호텔 스위트룸에 소비하는 등 ‘스몰 럭셔리’를 즐기는 이들은 더 좋고, 색다르고, 제대로 된 소비에 집중하는 소비자 입니다.

때문에 제대로 공을 들여 이들이 소비에 가치를 느낄 수 있도록 하거나, 평소 지출을 줄이는 데 기여할 수 있는 합리적 소비라는 인식을 줄 수 있는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해야 합니다.


✏️내 가게에 적용할 수 있는 TIP

🍽 외식업
합리적인 가격의 1인 메뉴 혹은 를 조금 더 공들여 구성해 보는 건 어떠세요? 단순히 1인분의 양에 싼 가격의 메뉴를 제공하는 것이 아닌, 1인 소비자만을 위해 공들인 메뉴를 통해 극도로 합리적인 체리슈머를 공략해보는 건 어떨까요?

💈이・미용업
미용 산업의 가격이 고공행진을 하는 와중 서비스를 쪼개어 조금 더 합리적인 가격을 제시해 시장의 빈틈을 노려보는 건 어떠세요? 합리적인 체리슈머들에게 합리적인 가격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거예요!




2023 트렌드 코리아 10대 키워드

🐰 Rabbit Jump 🐰


1 평균실종‘평범’하고 ‘전형적’인 것은 외면 받는 시대가 왔다. 개성있고 특별한 것들이 존중받는 시대
2 오피스빅뱅조직문화의 파격적인 변화, 이전과 달라진 업무 형태. 일이 전부인 시대는 지났다.
3 체리슈머극한의 합리성을 가진 알뜰하고 똑똑한 소비자가 온다. 현대판 보릿고개를 넘는 소비자!
4 인덱스관계인간관계에 인덱스(=색인)를 붙여 전략적으로 관리하는 방식. 디지털 시대의 인간관계 맺음
5 뉴 디멘드 전략어려운 시기, 소비자의 지갑을 열 수 밖에 없도록 만드는 수요 창출 전략
6 디깅 모멘텀덕후의 시대가 온다. 자신의 취향에 맞는 한 분야에 깊이 파고드는 ‘디깅’을 즐기는 사람들
7 알파세대디지털 원주민 세대. 태어날 때 부터 스마트폰을 쥐고 태어난 2010년 이후에 태어난 아이들
8 선제적 대응기술소비자도 모르는 니즈를 파악하여 최적의 경험을 미리 제공하는 기술. “아, 내가 이런 게 필요했구나!” 를 깨닫게 하는 기술
9 공간력밀려오는 가상 공간 속 오프라인 공간만이 가질 수 있는 힘, ‘비일상성’을 경험하고자 하는 소비자들이 향하는 공간
10 네버랜드 신드롬평생 나이들지 않고 어린아이로 살 수 있는 ‘네버랜드’. 수명이 길어지고 의료기술이 발전하면서 건강하게 오래 살게 된 우리 사회의 현상


2023, 검은토끼의 해를 대비하는 키워드 2가지 '평균실종 & 체리슈머'에 이어, 2편에서도 다른 2가지 키워드(뉴 디멘드 전략, 공간력)로 트렌드를 파악하고, 장사전략을 세울 수 있는 내용을 담고 있으니 놓치지 마세요 😎


다음 키워드, 2편 내용이 궁금하다면?👇

🏃‍♂️ 2023 트렌드를 알면, 장사가 열린다! (2편)





위의 이미지 클릭시, 도서 설명 및 구매 링크로 이동합니다.


・ 본 콘텐츠는 ‘서울대학교 소비트렌드분석센터’의 검토를 받아 작성되었습니다.

2022년 12월 28일
캐시노트 가입하고
필요한 컨텐츠 알림받기
이전글
생생한 식자재 보고서 [12월 4주차]
다음글
장사 필수 정보 모음 - 운영 관리 편
공감 14
저장 27
댓글 0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