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Q. 4-5평 주방,
냉방장치 어찌 해야할까요?
예산도 부족하여 작년은 악으로 깡으로 주방 더위를 버텼습니다. 이 여름 또 버티려고 했는데 너무 덥네요. 점심 장사만 끝나도 탈진 수준입니다. 현재는 조리할 때 후드 켜고, 홀 에어컨도 켜고 선풍기까지 돌리고 있습니다. 전기료 폭탄도 걱정이지만, 그 전에 더위에 죽을 것 같네요.
주방 냉방장치 어떻게 구성하면 좋을까요? 아직 초보 사장이라 여유는 없기에 알뜰하지만 시원하게 보내고 싶어요!
👨🏫 A. 다음의 사항들을
확인하고 실행해 보세요
💡 냉방시설의 상태는 어떤가요?
주방의 시설이나 위치는 현실적으로 바꾸기가 쉽지 않기 때문에 현재 냉방기로 충분히 온도를 내릴 수 있는지 우선적으로 확인합니다. 부족하다면 추가 냉방 시설을(에어컨, 냉풍기 등) 설치해야 합니다. 여기에는 위치를 확보하거나 전력을 확인하는 작업이 필요합니다.
특히 전력이 충분하지 않다면 폭염 기간에 전체 전력이 차단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필요한 만큼 증설을 하는 등 전력 확보를 해야 합니다. 비용이 아깝다고 현재 전력에 아슬아슬하게 맞춰서 사용하면 전기세가 오히려 더 발생할 수 있습니다. 내 가게에 맞는 전력의 5-10% 정도 여유 있게 준비하는 게 좋습니다.
💡 조리할 때 열이 발생하는 장비들을 확인하세요.
주방 장비들에는 여러 가지 이유로 열이 발생합니다.
A 간접적인 요소 : 전기를 사용하는냉장고나 오븐 워머의 경우, 주변에 간접적으로 열이 퍼집니다.
B 직접적인 요소 : 볶거나 찌는 화구, 육수 화구, 튀김기, 면을 삶는 해면기 식기 세척기 등은 아래에서 위로 직접적인 열을 발생 시킵니다. (+간접적인 형태로도 영향을 발생시킵니다!)
이런 특성들에 따라서 조치 방법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 열원(열의 공급원)의 형태와 위치에 따라서
배기 조치가 알맞게 설치되었나요?
B(직접적인 요소) 같은 경우는 장비 바로 위에 후드가 위치해야 적절하게 열기를 빼줄 수 있습니다. 지금 B 장비 위에 후드가 위치해 있는지 확인하시고 장비나 후드 위치를 조정하시는 게 좋습니다.
A(간접적인 요소)의 경우에는 공기의 흐름에 영향을 주는 장치만 추가해도 열을 통제할 수 있습니다.선풍기나 서큘레이터를 이용해서 열이 발생하는 곳에서 시원한 쪽으로(더우면 안되는 곳으로) 공기를 흐르게 해주면 훨씬 나아질 겁니다.
💡 열을 차단해 주는 막을 설치해 주세요.
튀김기나 오븐, 육수 화구 등 강한 열이 많이, 오래 발생하는 곳은 각 구역을 차단해주는 막을 설치해 주면 효과가 있습니다. 이렇게 하면 열이 옆으로 확산되는 것을 막고 위의 후드로 바로 가게 해줍니다.
나아가 조리하는 사람의 부상을 예방하고 더욱 청결하게 관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만약 주방 기기를 판매하는 곳에서 찾을 수 없다면 철판을 가공하는 곳이나 주방기기 생산하는 업체를 통해 어렵지 않게 제작할 수 있습니다.
💡 후드의 배기성능은 충분한가요?
배기 모터의 힘이 약하면 열기를 그만큼 배출할 수 없기 때문에 후드를 가동해도 충분히 열이 못 나가고 있을 수도 있습니다. 이럴 경우에는 세기가더 강한 모터로 교체를 해주어야 합니다.
주의할 점은 배기 모터가 너무 강해지면 매장의 문이 안 열리거나, 소음으로 손님들이 불편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또한 겨울에는 문틈으로 찬 공기가 많이 들어와서 문제가 될 수 있으니 이점을 유의해야 합니다.
💡 매장 전체의 환기가 잘 이루어지고 있나요?
외부로부터 열이 불필요하게 들어오고 있지는 않나요? 예를 들면 햇빛이 매장 안으로 많이 들어올 경우에도 매장의 온도가 올라갈 수 있습니다. 이럴 때는 어닝을 통해 매장 안쪽을 그늘지게 만들어 줍니다. 또한 매장마다 환기하는 방법이 다를 수 있으니 유의 바랍니다!
🧐 어닝이란?건물의 벽면, 입구, 또는 창문에 부착하여 햇빛이나 비를 차단하고 동시에 디자인으로도 사용되는 제품들을 통틀어 부름 |
어떤 곳은 홀에서 주방 방향으로 서큘레이터를 설치했을 때 나아지거나, 반대로 주방에서 홀 방향으로 설치했을 때 개선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후자의 경우 역으로 홀이 너무 더워지거나 불쾌한 냄새가 나지는 않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위 조치를 충분히 취했음에도 너무 덥거나, 아니면 현실적으로 조치가 불가능한 부분도 있을 겁니다. 그렇다고 해도 열 관리는 건강을 위해서 꼭 필요합니다. 시원한 물을 자주 섭취하고, 시계로 알람을 맞춰놓고, 세수를 하거나 주방 밖에서 잠시라도 휴식을 취합니다.
그리고 제빙기가 있다면찬물과 섞어 주방 바닥에 일하는 중간 중간 물을 뿌려 온도를 내려 주시고 주방에서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전력은 피크시간에 잠시 꺼두세요. 몸에는 얼음조끼나 얼음손수건 등을 활용해 체온을 떨어뜨려 주는 방법도 좋습니다.
✔ 냉방 기기 상태를 확인하고 부족하면 전력을 확인한 후 추가 설치해요. ✔ 열이 발생하는 장비의 위치를 확인하고 후드 위치에 맞게 조정해요. ✔ 매장 곳곳에 공기 흐름이 잘 돌고 있는지 확인하고 불필요하게 열이 유입되는 곳을 확인해요. ✔ 후드의 배기 모터 성능을 확인하고 교체해 줘요. (공기흐름과 소음을 확인) ✔ 열이 발생하는 장비에 열 차단막을 설치해요. ✔ 충분한 휴식과 얼음 조끼 등을 통해 내 몸의 열을 내릴 수 있는 조치를 취해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