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비회원으로 이용중입니다. 로그인을 하시면 더많은 서비스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로그인하기
회원가입하기
세무
간이과세자도 세금계산서 발급해줘야 하나요?
작년부터 달라진 간이과세, 이에 따라 달라진 정보를 확인하세요!
택스워치
세금을 알아야 돈이 모인다
구독자 1,536
#경영관리
#세무
#세금

홈 보러가기
            



안녕하세요, 사장님!

오늘은 간이과세와 세금계산서에 관한 내용을 가져왔습니다. 변화된 세금계산 정보를 확인하세요! 💡


간이과세자는 세금계산서 발급이 불가능했습니다.

하지만 간이과세 대상 사업자가 2021년 7월부터 연매출(공급대가) 4800만원 미만에서 연매출 8000만원 미만으로 확대되면서, 동시에 간이과세자도 세금계산서를 발급해야 하는 의무가 생겼어요.

4800만원 이상~8000만원 미만 사업자는 간이과세로 편입되어서 세금신고가 간단해지더라도 일반과세자일 때와 마찬가지로 세금계산서는 주고받도록 의무를 두게 된 것이죠.

세금계산서를 발급한 간이과세자는 부가세 신고서에 매출처별 세금계산서 합계표도 제출해야 합니다.



✔️ 매입세액공제

이에 따라 일반과세자가 세금계산서 발급의무가 있는 간이과세자에게서 세금계산서를 받은 경우에는 다른 일반과세자에게서 받은 세금계산서와 동일하게 매입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죠.

하지만 간이과세자끼리 세금계산서를 받은 경우에는 다릅니다.

일반과세자가 간이과세자에게 세금계산서를 받은 경우: 매입세액공제 받을 수 있음

간이과세자가 간이과세자에게 세금계산서를 받은 경우: 매입액(공급대가)의 0.5%만 공제받을 수 있음



✔️ 세금신고일정


세금계산서 발급의무가 있는 간이과세자는 세금계산서 발급의무가 없는 사업자들과 세금신고일정도 다릅니다.

간이과세자는 1년치(1월~12월) 부가세를 다음해 1월 25일에 딱 한번만 신고하면 되는데요. 새로 편입된 4800만원 이상~8000만원 미만 간이과세자는 6개월치(1월~6월) 부가세를 7월25일까지 신고해야 하는 의무도 있습니다.









✔️ 세금계산서 발급


간이과세자 중에서도 연매출 4800만원 미만인 사업자는 세금계산서를 발행할 수 없는데요. 이 사업자들은 종전처럼 영수증을 발급하면 됩니다.

거래 상대방이 세금계산서 발급의무가 있는 간이과세자인지는 거래처 사업자번호를 조회해 보면 확인이 가능한데요. 세금계산서 발급의무자인 경우 '간이과세자(세금계산서 발급 사업자)'로 조회됩니다.

세금계산서 발급의무가 있는 간이과세자인데도 발급을 거부한 경우라도 건당 공급대가 10만원 이상이면 거래일 6개월 이내에 매입자가 스스로 세금계산서를 발행할 수 있습니다.
→ 해당내용은 🔗세금계산서 발행 안 해줄 때 대처하는 법에서 확인하세요!


・ 본 콘텐츠는 제휴사가 제공하였으며, 캐시노트는 콘텐츠의 정확성, 완전성, 신뢰성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세금이 어려운
사장님을 위한 콘텐츠👇


💵 법인사업자, 더 세세한 Q&A

🌱 누구나 쉽게! 전자세금계산서 발행방법

🗓 7월 세무 일정


2022년 07월 18일
캐시노트 가입하고
필요한 컨텐츠 알림받기
이전글
성공하는 식당의 주방설계 방법 - 2편
다음글
카페운영, 답답한 상황 버티는 게 답일까요?
공감 1
저장 2
댓글 0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