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비회원으로 이용중입니다. 로그인을 하시면 더많은 서비스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로그인하기
회원가입하기
사장님119
푸드테라피, 처음이세요?
[인어] #푸드테라피 #조리도구 #조리불 #레시피
인어
푸드테라피 및 반찬 전문가
구독자 172
#푸드테라피
#수산물
#지역특산물

홈 보러가기
            



푸드테라피, 처음이세요?




푸드테라피란? 🧪


푸드테라피스트 조민정입니다.

푸드테라피, 좀 생소하고 낯선 단어일 겁니다.

말 그대로 푸드=음식, 테라피=치료하다 합성어로 음식으로 치료한다는 뜻입니다.

요새 새로운 질병과 전염병이 생겨나면서 건강에 대한 염려와 걱정이 많은데, 병증에 맞는 식재료를 소개하고, 그에 맞는 식재료 활용법이나 드시는 방법, 보관 방법, 식재료 상호관계를 알려드리는 일이라고 할 수 있죠.




푸드테라피스트란? 👩‍🔬


푸드테라피와 관련된 일을 하는 사람을
푸드테라피스트라고 합니다.

푸드테라피스트는 환자식뿐 아니라 다이어트식, 성장기 어린이를 위한 식사노년층을 위한 반찬이나 식사, 출산 후 산모를 위한 식사 등을 컨설팅하기도 합니다.

푸드테라피스트가 되려면 상대를 자세히 관찰하고 꼬치꼬치 물어보는 게 중요합니다. 알레르기는 없는지, 싫어하는 음식과 좋아하는 음식, 더 나아가 생활방식과 습관까지도 빠짐없이 기록하고 관찰해야 합니다.

그렇다면,
푸드테라피를 처음 어떻게 시작하고,
어떻게 활용해야 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병이 생기면 여러분들은 제일 먼저 무엇을 바꾸시겠습니까?

식재료라고 답하는 분들이 대다수일 겁니다. 하지만, 내가 처한 조리 환경부터 살펴보고 바꾸는 게 중요합니다.




#1 조리하는 불


요새는 가정집들이 가스보다는 인덕션이나 전기제품으로 많이 바꾸고 있지만 업장은 사실상 좀 힘들죠. 가스는 가라앉는 성질이 있으므로 가스 불 밑에서는 일하지 않도록 주의하고, 환기를 수시로 해야 합니다.


👩‍🔬 푸드테라피스트 조언 🧪

이러한 환경에서 일하는 분들에게 사과를 추천해요.🍎

사과에 함유된 퀘르세틴 성분은 폐 기능을 강하게 해주고 보호해주며, 유해가스 배출을 도와줍니다.

껍질째 드시는 게 가장 좋으며, 껍질째 간 사과즙을 드시는 것도 좋습니다.




#2 조리도구


양은이나 코팅 제품보다는 스테인리스로 바꾸는 게 좋습니다.

채반이나 쟁반, 뜨거운 음식이 닿는 도구들 또한 마찬가지입니다.

코팅 프라이팬은 최소한 3개월에 한 번은 바꾸고, 조리주걱도 실리콘 제품으로 바꾸는 게 좋습니다.


👩‍🔬 푸드테라피스트 조언 🧪

업장에서는 뚝배기를 많이 사용하시죠?

쌀뜨물을 사용하여 담가두면 좋지만 업장은 뚝배기가 많으니 밀가루와 베이킹소다를 1:1로 물에 풀어 한두 시간 담가두었다가 흐르는 물에 씻어 잘 말려서 사용합니다.




#3 양념이나 소스 장류


양념이나 소스류는 천연 재료들을 활용하는 게 좋습니다. 특히, 환자식을 할 때는 간 조절 시 소금보다는 장류를 쓰는 게 좋습니다.


👩‍🔬 푸드테라피스트 조언 🧪

자투리 채소들(예: 버섯 밑동, 배추껍질, 채소 껍질, 조금 남은 나물)을 건조기에서 건조, 모아서 채수를 내어 간장과 함께 끓이면 간이 약해져서 활용하기 좋습니다.

채수는 한번 쓸 것으로 소분해서 찌개 끓일 때 육수로 사용합니다.




#4 제철 식재료


제철 식재료는 산지에서 구매하시거나 직접 수확하는 게 가장 이상적이지만, 여건상 어렵다면 지역 로컬 매장이나 친환경 매장 이용을 추천합니다.



봄나물 간장소스 비빔 소면

🍃 주재료 🍃
소면 300g (삶아서 준비한다)
각종 봄나물
양파 2/1개
오이 1개
홍고추 2개(얇게 채 썰어서 준비)


🥣 소스 🥣
포도씨유 3큰술
설탕 3큰술
식초 1큰술
사과즙 2큰술
간장 4큰술
참기름 1큰술
다진 파 2큰술
다진 마늘 0.5큰술

👉 커다란 볼에 섞어두고, 먹기 직전에 고춧가루와 통깨를 넣는다.




#5 보관 용기


맛있는 음식을 담을 그릇과 보관 용기도 잘 고르셔야 됩니다.

유리용기나 스텐을 사용하는 게 가장 좋습니다. 플라스틱 용기에는 뜨거운 음식은 담지 않고, 금이 보이면 버리는 게 좋습니다.


이렇게 여러분은 푸드테라피를 시작하시게 된 겁니다. 처음엔 어렵게 느껴져도 저와 함께 한발 한발 나가다 보면 건강한 삶을 살고 계실 겁니다.





2022년 04월 19일
캐시노트 가입하고
필요한 컨텐츠 알림받기
이전글
멸치똥 하나하나 제거해야 할까?
다음글
키오스크 도입 시 검토해야 할 것들
공감 3
저장 7
댓글 0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