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비회원으로 이용중입니다. 로그인을 하시면 더많은 서비스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로그인하기
회원가입하기
세무
관두는 직원이 퇴직금을 달라고 한다면?
누구에게 퇴직금을 얼마나 줘야할지 궁금하다면 확인해 보세요
찾아줘 세무사
무료 세무견적/세무사 비교 플랫폼
구독자 3,416
#찾아줘 세무사
#세금

홈 보러가기
            


사장님과 함께 일하고 있는 직원이 퇴사한다고 하면서 퇴직금을 요청했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오늘 퇴직금에 대해서 자세하게 설명해 드릴게요!


퇴직금은 일정 요건을 만족해야 발생하며, 소득으로 간주되어 세금이 함께 공제되기 때문에 해당 부분까지 함께 계산해두시는 것이 더 정확한 방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오늘 글을 끝까지 살펴보시면 퇴직 이후 진행해야 할 세금 처리를 조금 더 쉽고 간편하게 진행할 수 있으니 끝까지 집!중!해서 살펴봐 주세요.


퇴직금 발생 조건

주당 15시간 이상을 근무한 근로자가 1년 이상 근로했을 경우


많은 분들이 헷갈리시는 부분이 아르바이트를 했거나 계약직으로 종사했을 때도 해당 금액을 지급받을 수 있는지에 대한 부분입니다.


이때 퇴직금은 직원 또는 아르바이트생이 1년 이상 근로를 했고 일주일에 근로한 소정근로시간이 15시간 이상이라면 사업 규모에 상관 없이 모두 지급해야합니다.


특히 과거에 지급을 하지 못했더라도 3년 이내에만 직원이 지급을 요청하면 수령하여 받을 수 있습니다.


퇴직금 계산 방법

1일 평균임금 X 30일 X 총계속근로기간 / 365


💡 간편 계산법

| 퇴사일 기준 직전 3개월 동안의 평균 임금을 근속연수에 곱하여 산출


예를 들어, 월 평균 100만 원 2년간 근무한 알바생의 퇴직금을 계산하려면


① 9월 10일에 퇴사한 경우 6월 10일 ~ 9월 10일까지(3개월)의 평균 임금을 구합니다.


② 직전 3개월 평균 임금 100만 원 * 3년 = 300만 원을 지급해야 합니다.


최종 퇴직금 산출 방법

퇴직금 - 세금 + 공제액 = 최종 퇴직금


퇴직금 세율 알아보기

과세표준세율누진공제
1,200만원 이하6%-
4,600만원 이하15%1,080,000원
8,800만원 이하 24%5,220,000원
15,000만원 이하35%14,900,000원
30,000만원 이하38%19,400,000원
50,000만원 이하40%25,400,000원
50,000만원 초과42%35,400,000원


퇴직금 또한 소득으로 간주하기 때문에 과세표준 금액에 따라 세금이 부과됩니다.


과세표준은 퇴직금의 총액에 근속연수와 환산 급여 별 공제가 이뤄진 금액으로 산출됩니다.


잠깐! 공제액이 궁금하다면?


앞서 언급한 것과 같이 공제는 근속연수와 환산 급여 별 공제 등이 있으며, 하단 표는 2022년 기준이니 같이 참고해 주세요.


근속연수 공제
근속 연수공제액
5년 이하30만원*근속연수
5년~10년150만원+50만원*(근속연수-5년)
10년~20년400만원+80만원*(근속연수-10년)
20년이상1,200만원+120만원*(근속연수-20년)

환산급여별공제
환산급여공제액
800만원 이하환산급여의 100%
800만원~7,000만원800만원+800원 초과분의 60%
7,000만원~1억원4,520만원+7천만원 초과분의 55%
1억원~3억원 이하6,170만원+1억원 초분의 45%
3억원1억 5,170만원+3억원 초과분의 35%



・ 본 콘텐츠는 제휴사가 제공하였으며, 캐시노트는 콘텐츠의 정확성, 완전성, 신뢰성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 퇴직금 관련, 알아야 할 정보가 더 있을까?

💰 인건비에 퇴직금 포함해 줬는데 또 주라고?


2022년 11월 22일
캐시노트 가입하고
필요한 컨텐츠 알림받기
이전글
20년 차 사장님의 미용기기 추천템
다음글
도전! 블로그를 통한 우리 샵 마케팅
공감 8
저장 17
댓글 2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