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장님, 안녕하세요👋 11월 3주차 생생한 식자재 보고서입니다 📃
앞으로 배송될 채소를 안심하고 사용하실 수 있도록 상품을 미리 보여드려요.
아래는 🌝 11월 15일 새벽 양파 / 배추 / 양배추 / 무 / 대파까지 5대 채소가 가락시장에서 물류 센터로 입고 되자마자, 별도 선별 작업 없이 단면 촬영한 사진이에요.
경매 시장에서 현장 근무 중인 MD의 상품 설명과 함께 배송 받으실 상품 품질을 가감 없이, 있는 그대로 보여 드립니다.
👨🌾 전문 MD가 읽어주는 주간 동향
“저온에 민감한 쌈 채소와 오이 등이 김장 시기 이후 시세가 오를 것으로 예상됩니다.” |
양파 💰 가격 수입산 양파의 가격이 약한 오름세를 보이고 있으나 걱정할 수준은 아닙니다. 👉 양파 사러가기 |
양배추 🌿 품질 속이 꽉 차지 않은 양배추가 대부분입니다. 💰 가격 양배추의 질이 떨어짐에 따라 시세는 내림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 양배추 사러가기 |
배추 💰 가격 보통 수능이 지나면 김장을 시작하기 때문에 미리미리 배추를 준비해 놓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이번 주까지는 비슷한 시세를 보이고 있으나 도매시장에서는 천 원씩 가격이 오르락 내리락하고 있습니다. 유명산지 배추와 고랭지 배추는 천 원 정도 더 비쌉니다. |
대파 💰 가격 출하지에서 좋은 가격대의 도매시장을 찾아서 출하 쏠림 현상이 생겨나 오름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가령 가락시장보다 광주시장이 시세가 높으면 가락시장으로 출하하지 않습니다. 이에 따라 가락시장 대파의 시세가 올랐습니다. |
무 💰 가격 무의 시세는 내림세를 유지하고 있으나 아직 바닥을 찍지 않은 가격입니다. 출하량 대비 소비가 대거 이루어지며 급락하지 않는 안정적인 시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
사장님이 많이 찾는 식자재 14종
👇 저번 주와 가격 비교하기👇
구분 | 전주 평균 | 11월 3주 평균 | 마켓 |
배추 (포기) | 2,047원 | 1,979원▼ (-68원) | 🔗 배추 보러 가기 |
무 (개) | 1,515원 | 1,260원▼ (-255원) | 🔗 무 보러 가기 |
건고추 (600g) | 13,037원 | 12,992원▼ (-45원) | 🔗 건고추 보러 가기 |
깐마늘 (kg) | 8,183원 | 8,183원 | 🔗 깐마늘 보러 가기 |
양파 (kg) | 1,489원 | 1,487원▼ (-2원) | 🔗 양파 보러 가기 |
쌀 (20kg) | 47,800원 | 47,848원▲ (+48원) | 🔗 쌀 보러 가기 |
감자 (20kg) | 38,737원 | 43,163원▲ (+4,426원) | 🔗 감자 보러 가기 |
사과 (10kg) | 28,324원 | 27,883원▼ (-441원) | 🔗 사과 보러 가기 |
배 (15kg) | 31,438원 | 30,552원▼ (-886원) | 🔗 배 보러 가기 |
소고기 (kg) | 17,999원 | 17,722원▼ (-277원) | - |
돼지 고기 (kg) | 5,093원 | 5,221원▲ (+128원) | - |
계란 (30개) | 4,896원 | 4,920원▲ (+24원) | 🔗 계란 보러 가기 |
밀가루 (톤) | 318$ | 301$▼ (-17$) | 🔗 밀가루 보러 가기 |
식용유 (톤) | 1,652$ | 1,675$▲ (+23$) | 🔗 식용유 보러 가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