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 전 한 서점에서 북토크쇼를 진행했다.
북토크쇼에는 10명 남짓 참석했는데, 그중 절반은 우리 카페&서점의 손님들이자 친구들이었다. 기어코 시간을 내서 방문해주는 그들의 진심 어린 애정과 사랑에 왈칵 쏟아지려는 눈물을 겨우 눈물샘에 붙들어놓는다.
낯선 이들이 아닌 마음 편한 이들이 함께라서 북토크쇼는 편안한 분위기에 웃으며 잘 마무리되었다. 친구들과 맥주 한 잔 하려고 하는데, 행사 진행자가 나를 붙든다.
“대표님이 차 한잔 하자는데, 다 같이 가실래요?”
친구들도 흔쾌히 수락해서 우리는 다 같이 꼭대기 층으로 올라갔다. 북토크쇼의 여운과 새로운 만남에 대한 설렘으로 우리는 엘리베이터를 순식간에 훈훈하게 달구었다.
*
꼭대기층에 내리니 예쁜 옥상정원이 보이고, 고즈넉한 풍경과 옛스러운 예술작품들이 보인다. ‘우와’ 우리는 입을 떡 벌리며 구경한다. 그중 한 친구는 내 옆구리를 팔꿈치로 찌른다.
“우리 공간도 열심히 노력해서 이렇게 성장해야죠?”
친구의 말에 우리는 다 같이 너털웃음을 짓는다. 옥상정원을 지나 문이 보인다. 성큼 들어가려는데 한 친구가 나를 막아선다. 친구의 시선에는 내 손에 들린 박스가 보인다.
오늘 북토크쇼를 위해 바리바리 박스에 짐을 싸온데다가, 두꺼운 패딩을 입어 굉장히 둔해 보였다. 나는 고개를 끄덕이며 패딩을 벗고, 박스 위에 살포시 올려둔다. 이제, 드디어! 문을 열고 입성!
*
인자한 인상의 대표님과 정겨운 인사를 나눈다. 우리 친구들, 그리고 대표님의 아드님과 행사 진행자 분도 함께 자리한다. 우리는 북토크쇼 때 못다 한 이야기도 나누며 이야기 꽃을 피운다.
그러다가 이야기는 길어져 다채로운 이야기가 찻잔 위에 얹어진다. 최근 동네 카페&서점의 어려움을 시작으로 곧 사소한 이야기로도 번진다.
대표님 아드님은 나와 동갑으로 현재 분점의 지점장을 맡고 있다. 조만간 네 번째 분점을 낸다는 소식 등등. 입에 감도는 차가 조금은 씁쓸하다.
🍶
이어서 함께 자리한 친구들에 대한 이야기가 시작된다. 내 친구는 초등학교 선생님이다. 마음이 아름다운 사람이라, 아이들에게 보여주는 사랑도 아름답다. 친구가 아이들에게 보여주는 애정의 깊이를 헤아릴 수 없이 나는 그 친구에게 순식간에 빠져들었다. 곧 매료되었고, 존경하게 되었다.
‘초등학교에 다시 입학하고 싶어요’, ‘우리 아이를 친구한테 맡기고 싶어요’라고 말할 만큼 진심으로 너무 멋진 사람이다. 누구든 그녀를 보면 반하게 될 거다 분명. 아니나 다를까, 대표님과 행사 진행자 분도 그녀에게 푹 빠진 게 보인다.
거봐! 내 친구 짱 멋지지? 어깨가 으쓱해지는 그 순간, 행사 진행자분이 내 친구에게 명함을 내민다.
“다음에 우리랑 같이….”
'어?'
그 이후로도 우리는 몇 번이나 찻잔을 비웠고, 아쉬움의 작별인사를 했다. 연이은 수다로 온 몸에 탈력감이 온다. 어서 나를 기다리고 있는 아이가 보고 싶다. 어서!
북토크쇼는 정말이지 행복했다.
근데 왜 나는 잠을 이루지 못하는 걸까. 왜 마음이 이다지도 씁쓸한 걸까. 허무함, 허탈함과 무력감이 나를 휩쓴다.
왜. 왜일까. 그래. 그렇구나.
현재의 카페&서점을 운영하며 한계를 명확히 깨닫고 있다. 꿈꾸듯 행복한 지금의 상황을 지속할 수 없는 순간이 올 거라는 걸 은연중에 느끼고 있다. 매일 하루에 두어 번 경운기가 털털거리며 지나가는 이 외딴곳, 8평 남짓한 좁은 공간에서는 할 수 있는 것과 할 수 없는 것이 뚜렷했다.
새로운 메뉴도 만들고 싶고, 새로운 책도 소개하고 싶고, 새로운 전시나 문화프로그램도 만들고 싶었다. 하지만 주어진 주머니는 작았고, 공간도 협소했다. 어느새 나는 ‘조금만 더 넓었으면’, ‘조금만 더 돈이 있었다면’라고 읊조리고 있다.
4년 차 공간의 곳곳에 낡은 흔적들이 보여서 더 내 마음을 긁어둔다. 하지만 내가 간절히 원하던걸 이미 가진 이가 있다. 내가 가지지 못한걸 가진 이에 대한 부러움, 질투, 열등감이 샘솟는다. ‘내가 그런 기회가 있었다면, 난 더 잘할 수 있을 텐데’라는 아쉬운 소리를 스스로에게 내뱉는다.
*
그러나 나를 더 아쉽게 하는 건 ‘친구’였다.
내가 가지지 못한 것에 대해 끊임없이 비교하며 스스로를 갉아먹는 대신, 내가 가진 것에 대해 감사하기로 했다. 내게 6층짜리 건물은 없어도, 내게 돈이 없어도, 내게 뭐든 할 수 있을 것만 같은 넓은 공간이 없어도, 내게는 ‘친구’라는 존재가 있지 않은가. 일부러 시간을 내어 북토크쇼를 와준 친구들, 따스한 응원을 보낸 친구들, 매 순간 사랑이 뭔지 알게 해 주는 친구들이 있지 않은가 말이다.
그런데, 그날 행사 진행자가 선생님인 친구에게 내민 명함 한 장은 내게 큰 파문이었다.
내게 남은 것은 이제 ‘친구’뿐이라고 생각했는데, ‘친구’도 떠나갈 수 있구나. 깨닫는다. 애정은 양방향이 아닌, 일방향이 될 수 있음을. 그제야 새삼 깨닫는다.
*
손님을 ‘친구’라고 부른 순간,
그들을 진심으로 ‘친구’라고 대한 순간,
내 마음의 둑은 허물어지고 만다.진심으로 마음을 다해 사랑하게 된다. 애정을 다하게 된다. 이 애정이란 건, 내가 애정을 준 만큼 받기를 바라는 욕망이자 열망적 감정이라, 나도 모르게 친구들의 애정을 갈구하게 된다.
‘내가 사랑해주는 만큼, 날 사랑해줘’, ‘내가 당신을 생각하는 만큼, 부디 날 생각해줘’라는 갈구.
그러나 현실은 그렇지 않다. 아무리 손님과 친하다고 해서, 손님과 내가 서로 ‘친구’라고 부른다고 해서, 사장의 입장과 손님의 입장은 다를 수밖에 없음을 늦게야 깨닫고 만다.
단골손님이 어느 날 옆집 카페를 가게 되었을 때, 늘 우리 서점에서 책을 사보던 친구가 다른 서점에서 책을 살 때, 우리 공간에서 문화를 즐기던 이가 다른 공간을 더 선호하게 되는 순간마다 친구를 떠나선 ‘입장차’를 인정하고야 만다.
*
잠 못 들고 뒤척이며 있는데 카톡! 문자메시지가 온다.
나와 같이 잠을 이루지 못한 한 친구로부터의 마음이 도착했다.
집에 잘 들어가셨나요? 왜 그런지 모르겠는데 마음이 좀 씁쓸해서 메시지를 남겨요. 언제나 든든한 편이 되어줄게요. 늘 응원할게요. 사랑합니다. |
친구는 알았구나. 정말 진심으로 애정을 다했기에, 진심으로 이 공간을 함께 했기에, 정말로 우리가 함께한 시간이 진실했기에 그 친구는 알았던 거다.
티 내지 않았던 나의 마음을, 드러내지 않기 위해 부단히 붙잡고 있었던 나의 현실을. 감정의 파도에서 어쩔 줄 모르며 한없이 침전하던 내게 손을 내민다.
*
우리는 사람에게 상처를 받고,
사람을 통해 회복한다.
더 이상 ‘사람’에게 상처받지 않겠다고 다짐해봐도, 우리는 어느새 또 사람을 만나고, 사람을 사귀고, 사람에게 마음을 주고 있다.
우리는 알고 있다. 사람을 만나는 게 얼마나 힘든 일인지. 만나는 과정에서 오는 감정의 소모, 사귀는 과정에서 오는 애정의 정도와 방향의 차이, 지속하는 과정에서 오는 애정의 깊이 차로 인한 갈등과 고난을 알고 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모든 벽을 무너뜨릴 만큼 거대한 감정이 우리를 압도하는 순간이 있다.
내겐 오늘이 지금 그 순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