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비회원으로 이용중입니다. 로그인을 하시면 더많은 서비스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로그인하기
회원가입하기
세무
매출이 없다고 부가세 신고 안하면..?
무실적 신고를 하지 않았을 때 폐업처리가 될 수도 있다는 사실, 아셨나요?
택스워치
세금을 알아야 돈이 모인다
구독자 1,536
#경영관리
#세무
#세금

홈 보러가기
            



신규 개업 후 소득은 고사하고 매출조차 없는 경우라고 하더라도 부가가치세 확정신고를 진행해야 하는데요. 매출이 없으면 낼 부가세가 없는데도 신고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세금이 없다고 해서 부가세 신고를 하지 않으면 국세청에서 '폐업자'로 간주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국세청 입장에서는 해당 사업자번호를 통해 보고되는 실적이 전혀 없으니 폐업된 것으로 보고 담당 세무 공무원이 직권으로 폐업 처리를 할 수 있어요. 이 절차를 ‘직권 폐업’이라고 부르는데, 직권 폐업되면 사업자등록도 자동으로 말소 처리가 됩니다.

문제는 단순히 사업자등록만 말소가 되는 게 아니라 사업자등록이 되어있어야 이용할 수 있는 금융상품이나 혜택들을 받지 못하게 될 수 있다는 것이에요.

ex. 사업자가 자금 융통을 위해 받는 '개인사업자 관련 담보대출'은 사업자등록이 되어 있어야만 받을 수 있음


개인사업자 대출을 이용하고 있는 동안 직권 폐업으로 인해 사업자등록이 말소되어버리면 이용 중인 사업자 대출 상품을 회수당할 수 있습니다.

이외에도 무실적 신고를 하지 않으면 차후 매출이 발생해서 세금계산서를 발급하려 하거나 특정 세무 처리를 할 때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이미 폐업 처리가 되어 사업자등록이 말소돼 아무것도 할 수 없는 난처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그렇기 때문에 매출이 없는 무실적 상황이라고 할지라도 사업자는 사업을 계속 유지하고 있음을 증명하기 위해 국세청에 무실적 신고를 통해 폐업 상태가 아니라는 ‘생존 신고’를 하는 일이 필요합니다.



무실적 신고 방법 🔎


시기 | 7월과 1월 부가가치세 확정신고 기간

방법 | 셋 중에 편한 방법으로 진행하시면 됩니다.

국세청 홈택스 홈페이지에서 자신의 사업자번호를 조회한 후 ‘무실적 신고’ 버튼 누르기

모바일 손택스 앱에서 부가가치세 간편 신고에 들어가 무실적 신고

보이는 ARS 서비스를 통해 1544-9944로 전화 후 사업자 번호와 주민등록번호를 입력



유의사항 👀


무실적 신고 대상은 매출과 매입이 둘 다 없는 사업자인데, 간혹 매입은 있고 매출만 없는 사업자가 자신이 무실적이라고 생각해 부가세 신고를 아예 하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사장님이 무실적 신고 대상인지 일반 신고 대상인지를 구분하시는 게 중요합니다.

신고하면 세금을 내게 될까 봐 지레 겁을 먹고 신고하지 않는 사업자들이 많은데 매출이 없어도 임차료 등으로 수취한 매입 세금계산서가 있는 사업자라면 부가세 환급을 받을 수 있으므로 신고를 진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 본 콘텐츠는 제휴사가 제공하였으며, 캐시노트는 콘텐츠의 정확성, 완전성, 신뢰성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세금이 어려운
사장님을 위한 콘텐츠👇


☔️ 집중호우 피해 세정 지원

🤔 사업용 신용카드 등록, 늦었을 땐?





2022년 08월 25일
캐시노트 가입하고
필요한 컨텐츠 알림받기
이전글
장어로 몸보신하기 딱 좋은 시기는?
다음글
홈파티 푸드 박스 판매를 위한 체크 사항
공감 8
저장 14
댓글 0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