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비회원으로 이용중입니다. 로그인을 하시면 더많은 서비스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로그인하기
회원가입하기
세무
기본 중의 기본, 원천세 납부하기!
💸납부 방식이 다른 원천세, 어디에 납부해야 할까요?
택스워치
세금을 알아야 돈이 모인다
구독자 1,536
#경영관리
#세무
#세금

홈 보러가기
            

그래픽= 변혜준 기자 jjun009@


🔎 원천세란?

원천세는 사장님이 직원에게 급여에 대한 소득세를 공제하고 지급한 뒤 사업장 관할 세무서에 신고 납부하는 세금이에요. 직원들의 소득세를 사장님이 떼서 대신 납부해주는 거죠.
직원 개인이 각각 소득세를 신고하고 납부하는 게 원칙이긴 하지만 소득을 개별적으로 신고하는 건 납세자 입장에서는 부담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정부가 사장님을 통해서 직원 인건비를 비용으로 인정받을 수 있게 하고 원천징수해 신고 납부하는 의무를 준 것이랍니다.



💸원천세 납부하기

원천세 신고가 처음인 A 사장님은 총 3장의 원천세 납부서를 받게 되는데요. 근로소득세, 사업소득세, 지방소득세 세 가지예요. 각각의 납부서가 의미하는 게 뭔지, 또 어떻게 내야하는지를 세세하게 정리해보려고 해요.

세금은 크게 국세지방세로 나뉘는데요. 우리가 흔히 접하는 세금 중 부가세를 제외하고 법인세, 소득세, 원천세는 국세와 지방세 둘로 나눠 부과됩니다.
따라서 세금을 한 번에 한곳에 내는 게 아니라 근로자에게 원천징수한 소득세와 지방세를 각각 돌아오는 달 10일까지 사장님이 신고 및 납부해야 하는데요. 예를 들어 2월에 급여를 지급했다면 3월 10일까지 신고 납부해야 하는 식입니다.


🏠 소득세는 홈택스, 🏬 지방세는 위택스

사장님이 납부해야 하는 원천세인 소득세와 지방세 각각 납부 방식이 다른데요. 소득세는 홈택스를 통해 납부하면 되고 지방세는 위택스에서 확인 후 납부할 수 있어요.
국세인 소득세의 경우 납부서에 계좌이체할 계좌번호가 나와서 편리하게 납부할 수가 있는데요. 우편으로 받은 고지서에 적인 가상계좌로 납부 기한 내 이체하면 돼요. 반면 지방세의 경우에는 전자납부번호가 나와서 은행 사이트의 공과금에서 납부하거나 위택스를 통해 납부하면 됩니다.


⏰ 원천세 납부를 놓쳤다면?

기한 내 납부하지 못했다면 납부불성실 가산세가 발생하게 되는데요. 납부불성실 가산세는 (납부하지 않은 세액 혹은 덜 납부한 세액 x 3%) + (미납세액 x 0.025% x 미납일수)의 식을 통해 계산하며 가산세는 미납세액의 10%를 넘어가지 않도록 한도가 정해져있습니다. 미납일 수에 따라 가산세가 매일 붙게 되니까 최대한 빨리 납부하는 게 가장 좋은 방법이 되겠죠.



👉 다른 세무 정보 알아보기

🔗 이런 창업도 세액감면 되나요?

🔗 부가세를 안 내는 사장도 있다?

🔗 임금명세서 어떻게 작성하나요?



・ 본 콘텐츠는 제휴사가 제공하였으며, 캐시노트는 콘텐츠의 정확성, 완전성, 신뢰성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2022년 02월 23일
캐시노트 가입하고
필요한 컨텐츠 알림받기
다음글
배달 피해사례별 대응방법 - 1편
공감 5
저장 0
댓글 0
공유